단절-재개통 (Disconnect -Reconnect) 재밍(Jamming) 된 감각은 어디에 안착할까



허대찬(미디어문화예술채널 앨리스온 편집장)

* 본 글은 전시 2023 팩션 공모 선정 전시 «력중력»의 비평문입니다.


 ‘재밍(jamming)’은 통신을 교란하는 전자적 공격을 의미한다. 이 행위의 여파는 단순한 통신의 어려움에 그치지 않는다. 오늘날 통신은 네트워크, 즉 현실의 물리 세계와 디지털의 가상 세계를 연결하는 매우 중요한 기반이다. 2018년 서울 충정로 KT 아현지사 화재 사건을 떠올려보라. 일주일간 서울의 1/6 정도에서 인터넷을 포함해 네트워크에 기반한 일상 전반이 마비되었다. 시각, 시간 정보 등 우리가 상황이나 현상을 이해하는 조건 전반이 흔들리며 비록 잠시 동안의 고립이었지만, 연결된 일상 너머, 비연결의 상황은 또 다른 현실로 연결되며 폭력적인 충격을 선사한다. 그렇기에 재밍은 오늘날 현대전과 분쟁에서 우선 상정하고 대비해야 하는 전술로 자리한다.

 전시의 제목이자 이번 전시에서 처음 선보이는 작업인 «력중력»은 우리가 마주하는 현상과 대상에 대한 감각과 인식을 재밍, 말 그대로 교란하고 공격하는 시도이다. 이것은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상황의 감각을 단절하고 비틀며 재구성을 요구한다. 돌과 풀 같은 자연물, 문화재를 바로 떠올릴 수 있는 다양한 사물이 장소성이 없는 검은색 가상공간에 부유한다. 이들은 멀어졌다가 다가오고 회전하거나 정지한 채 허공을 떠돈다. 상황과 장면을 서로 분할하기보다는 주시하는 대상을 당기거나 역으로 밀어내고, 투과하거나 미끄러지는 등 대상끼리 연결되어 주유한다. 여기서 중력은 일관된 법칙이 아닌 조작된 관계 요소로 작동한다.

 제목에 포함된 ‘중력’은 거시세계, 즉 우리가 신체와 정신을 통해 느끼고 감각할 수 있는 규모의 세계를 구성하는 근간 중 하나이다. 중력이 없는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무중력이라고 칭하는 상황조차 중력 방향으로의 가속, 즉 중력이 다른 힘과 상쇄되어 무게가 0이 되는 상태를 칭한다. 이 물리 법칙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는 곳이 우리가 만들어낸 또 다른 현실, 디지털 공간 또는 가상 공간이다. 우리는 어떤 공간, 어떤 상황이 가상 공간임을 드러내기 위해 중력이 없는 상태를 설정하곤 한다. «력중력»의 공간과 상황이 바로 그곳이다. 이곳은 현실의 물리 법칙에 따라 몰입감을 주지만 동시에 자유롭게 법칙을 조작할 수 있는 디지털 인공 공간이다. 그러한 가상 공간의 조작 가능성 아래, 돌과 풀, 유물은 함께 부유하고 다양한 방향으로 교차한다. 이들이 움직이는 속도와 무게는 익숙한 중력을 탈피한다. 매우 정밀하게 재현한 오브젝트가 등장해 현실의 인식 관계를 탈출한다. 그리고 작가가 구성한 카메라 무빙과 앵글에 연계되어 새로운 상황으로 나아간다. 다양한 당김과 밀어냄의 운동 속에서 관계와 연결은 재구축된다. 그것을 행하는 것은 작품 앞에 선 우리다.

 ‘중력 조작’과 함께한 또 다른 단절과 재연결의 전술은 ‘박피’이다. «유물박피» 시리즈는 한국 문화재청에서 실제 문화재를 스캐닝-데이터화해 오픈소스로 공개한 디지털 유물 데이터(digital heritage data)를 가공하고 3D 프린터로 재현한 결과물이다. 작가가 선택한 유물의 디지털 헤리티지 데이터는 3D 툴을 통해 전혀 다른 외피를 두르고 3D 프린팅 되어 다시 물질세계에 출현한다.

 유물은 당대에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보존 가치를 인정받은 사물이다. 여기에는 오랜 시간의 차이와 그 차이를 통해 확보한 서사적 맥락과 해석한 의미가 연결된다. ‘박피’는 바로 이 연결을 세척하는 행위이다. 작가는 유물 데이터의 표면을 변이시킨다. 다양한 비즈와 반짝이는 표면으로 구성된 탈, 불상, 토기가 그 결과물이다. 세월이 흘러 나무, 돌, 흙에 발생한 무게감, 거친 질감, 탈색 및 변색된 표면감각과 같은 ‘기존의 물질성’에 대한 기대는 철저히 무너진다. 박피된 유물은 모든 상황과 관계를 압도하는 새로운 표면으로 드러난다. 그 빈 자리에서 떠오르는 건 실제로 만지지 않았음에도 만진 것처럼 감각을 비집고 교란하는 ‘증폭된 촉각성’이다. 이 촉각성은 유물이 가지는 역사성과 아우라를 철저히 박피해낸다. 시각 정보만으로 들어오는 경험은 직접적인 촉각 경험보다 날카롭게 비집고 들어와 감성을 유린한다. 기존의 경험과 감각이 해제된 상황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새로운 인식과 맥락의 재조립이다. «일곱 가시의 칼»은 표면이 아닌 내부에서 출발하는 또 다른 박피 작업이다. 이 작품은 유물이 가진 서사를 비틀어 가상의 서사를 구축하는 과정을 물질로 구현한다. ‘칠지도’는 한국과 일본 두 나라가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상반된 역사적 맥락과 의미를 주장하는 독특한 유물이다. 작가는 이러한 다면적 좌표를 가진 칠지도에 또 다른 가상의 설화를 도입했다.

 «일곱 가시의 칼»은 이 설화를 재구성한 작품으로, 또 다른 충격으로 우리의 감각을 찌른다. 칠지, 즉 일곱 가지가 익히 알던 형태와 전혀 다르게 안착한 상황은 ‘이격’의 대표적 발걸음이다. 유약을 바른 도자와 같은 표면의 물질감은 3D프린팅과 합성수지 코팅의 결과로, 우리를 다시 한 번 교란한다. 작품 상부의 버튼을 누르면 작가가 구상한 가상의 서사가 소리로 재현되어 교란의 풍경을 보강한다. 전시장 한 켠에 배치한 회화 연작은 작업 세계를 풍경으로 펼쳐 작품 간의 연결과 인식을 돕는다.

 표면에 대한 가공과 조작은 이번 전시에 등장하는 모든 유물에서 공통적으로 관측된다. 이는 우리가 축적한 교육과 고정관념에 대한 유쾌한 공격이다. 우리는 생존 전략으로서 예측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무수히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한다. 생존 및 항상성의 확보를 위한 활동은 에너지 소비의 효율성을 요구한다. 이에 대응해 우리는 기존의 경험을 토대로 판단과 이해, 실행으로 이어지는 루틴을 수립해왔다. 이 루틴은 판단 논리, 이해, 관념, 개념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작동한다.

 한편 작가를 비롯한 사회 내 여러 창작 구성원은 이러한 예측 가능성을 흔들고 교란하기 위해 역시 무수히 많은 시도를 반복한다. 본능에 반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에너지를 축적하고 소진해야 한다. 그럼에도 이들이 본능을 거스르기를 반복한다면, 그 시도는 체계 안에서의 또 다른 당위적 행위가 될 것이다. 안정과 유지의 지속은 필연적으로 퇴색, 퇴화, 퇴보에 닿는다. 혁신과 전진을 통해 자연에 위배되는 높이를 쌓아 올린 것이 우리 인간의 사회이고 문명이다. 혁신과 유지의 시도 사이에는 이성의 빛이 닿지 못하는, 놓칠 수 있는 영역이 있다. 이곳을 탐색하는 것이 바로 창작자와 같은 이들이다.

 작가는 거대집단의 중력에 저항하려 력중력을 지향한다. 그리고 역사적·학문적 인식이 안착한 표면을 휘젓기 위해 박피한다. 이를 통해 우리를 사회 주류의 고속도로에서 능동적 재조합과 또 다른 의미 생성으로 진출하도록 밀어 재낀다. 시각을 비집고 들어와 내부에서 작동하는 촉각의 시뮬레이션은 신체 감각을, 시간 감각을, 인식과 판단을 교란한다. 이 공격 과정에 의해 재밍된 감각은 작가가 유물을 또 다른 사물로 재구성하듯 우리에게 또 다른 행위자로서의 활동을 제안한다. 혼란에서 회복하던, 혼란을 즐기던 혼란은 기존 인식에 대한 환기로 우리에게 남는다. 오늘날 모든 것이 연결되어 확장된 세계는 기정사실이다. 그 세계가 낳는 폭발적인 정보와 변화를 받아들이는 우리에게, 수동과 능동 사이에서 어떠한 지점을 점유할 것인지 사유해보는 것은 또 하나의 전술적 웨이포인트(waypoint)이지 않을까 싶다.


«력중력» 전시 전경 (사진: 최규호, 오정음)

«력중력» 전시 전경 (사진: 최규호, 오정음)